성격과 체질에 관하여 (5)

사상인(四象人)의 심리특성과 성격 이제마는 사람을 장부의 대소에 따라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의 네 체질로 나누어 체질의학을 창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가 동의수세보원에서 사상인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내용을 읽어보면서 사상인의 성격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1) 태양인(太陽人)  태양인(太陽人)은 천시(天時)를 들으며 (太陽之耳 察於天時)인륜(人倫)과 당여(黨與)에 능하지 못합니다(太陽之鼻 不能廣博於人倫…太陽之肝 不能雅立於黨與). 또한 방종(放縱)하며 사람을 만남에 해를 가져오는 부분이 있다고 하였습니다.(太陽之心 […]

Read More…

성격과 체질에 관하여 (4)

무의식 영역에서의 태도(attitude)-기능(function) 융이 설명하고 있는 성격 유형은 의식(consciousness)에서의 기능과 태도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앞에서 살펴본 바처럼 우월한 태도-기능의 조합은 외향적 사고, 내향적 사고, 외향적 감정, 내향적 감정, 외향적 감각, 내향적 감각, 외향적 직관, 내향적 직관의 8가지가 가능하고 이것이 융의 성격 유형분류입니다. 이에 더해서, 융 학파 분석가인 존 비비는 융의 유형 분류를 무의식 영역까지 보완하여 […]

Read More…

성격과 체질에 관하여 (3)

융이 말하는 성격 분류는 의식(consciousness)의 태도와 기능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융은 이 우월 기능을 도와주는 보조적(auxiliary)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며, 이는 우월 기능의 판단 (judgment) 혹은 인식(perception)에 치우친 특성을 보완해 주고 우월 기능이 보다 분화된 형태로 표현될 수 있게 돕는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내향적 사고가 주된 태도-기능인 경우 사고의 판단적 특성을 보완하는 인식 영역의 기능, 즉 […]

Read More…

성격과 체질에 관하여 (2)

융 Jung이말하는기능유형(function-types)  개인별로 다양한 양상으로 선택적인 분화(differentiation)를 이루며 발달한 기능적 특성으로서, 사고(thinking), 감정(feeling), 감각(sensation), 직관(intuition)을 말합니다. 합리적 기능이자 판단(judgment) 기능에 속하는 것이 사고와 감정입니다. 사고는 논리적 과정에 의해 비개인적인 발견을 이루는 것이고, 감정은 이해와 평가를 통해 주관적 가치를 사물에 부여하는 것이라고 융은 이야기합니다. 사고형은 개인의 삶이 주로 생각에 의해 영향을 받고 지적 知的으로 간주되는 요인들에 […]

Read More…

성격과 체질에 관하여 (1)

서양의 성격심리학의 토대가 되는 임상적 이론이 칼 구스타프 융(C. G. Jung)의 성격유형론이라면 한의학(韓醫學)에서 성격론을 다루고 있는 것은 이제마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연재 칼럼에서 융의 성격심리학이 다루는 8가지 성격유형들과 사상인(四象人)의 성격 유형에 관한 내용을 비교하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융이 말하는 태도 유형(attitude-types): 외향성, 내향성  융이 말하는 태도란 리비도(libido) 즉, 정신적 에너지(psychic energy)의 방향성과 관계성을 말하는데, […]

Read More…

자폐증에 관하여 Part. 2

영국의 정신분석가 프랜시스 터스틴은 이와 같이 자폐를 겪는 아이들과 그 부모를 함께 이해하고 분석하면서 자폐증 치료에 크고 작은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녀의 치료 경험이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집중되어 있지만 오히려 현대의 우리에게 그녀의 경험은 자폐증의 심리적 원인과 해결책을 보다 깊은 지혜로 알려줍니다. 그녀는 자신이 성공적으로 치료한 아이들의 경우 자폐증으로 명확히 진단받았으면서도 뇌신경학적 원인보다는 심리적 원인이 컸다고 쓰고 […]

Read More…

자폐증에 관하여 Part. 1

“얼음처럼 차가운 엄마 Refrigerator Mother” – 1940년대 중반에 미국의 정신과 의사였던 레오 캐너 Leo Kanner박사와 헝가리의 심리치료사였던 브루토 베텔하임 Bruno Bettleheim은 아이의 자폐증은 정서적으로 냉담한 엄마의 양육에 대한 방어적인 반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이후 이삼십 년간 정신의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고 자폐아를 가진 부모들의 마음에 상처와 죄책감을 남기게 됩니다. 그러나 부모를 향한 비난에 대한 반작용이 만만치 […]

Read More…

아이들의트라우마 Part. 2

생각하기조차 힘든 불안과 공포가 아이의 자아와 인격을 해체시킬 듯이 위협하게 되면 무의식 깊은 곳으로부터 강력하고 원형적인 방어가 움직여 아이의 정신이 해체되는 것을 막고자 합니다. 이러한 방어체계는 아이들의 꿈속에 강력한 보호자나 공격자의 이미지들로 나타나 더 이상의 현실 접촉을 막고 정신을 해리 dissociation 시키면서 일차적인 생존을 유도한다는 점을 융 분석가인 도널드 칼쉐드Donald Kalsched는 적고 있습니다. 환상의 영역이 […]

Read More…

아이들의트라우마 Part.1

며칠 전 마리(Marie)가 몇 달 만에 한의원에 치료받으러 왔습니다. 그녀는 40대 초반의 유럽계 여성으로 10대 후반의 딸, 10살 난 아들과 남편이 있습니다. 가정의 경제 상황이 어려워 치료를 받으러 올 때도 늘 무거운 마음으로 오는 것을 알고 있던 터라 몇 달 동안 한의원에 들르지 못하는 것이 많이 안타깝던 차였습니다. 마리의 첫째 딸이 중증의 정신발달지체를 겪고 있어 […]

Read More…

ADD에관한생각 Part. 2

딜러 박사(Dr. Diller)는 리탈린(Ritalin)의 사용이 아이만의 문제가 아닌 가족, 학교 그리고  사회가 가진 문제와 주변 분위기의 산물이며, 역으로 문제를 보완하거나 혹은 덮어버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했습니다. 그는 많은 고민을 책에 담아내었습니다. 그중 인상적인 내용 두 가지는 정치적으로 올바른 양육(Politically Correct Parenting)과 코스매틱 리탈린(Cosmetic Ritalin)이라는 내용입니다. “정치적으로 올바른” 양육 방식은 아이들에게 무의식적 상처를 남기지 않도록 사랑을 […]

Read More…

ADD에관한생각 Part. 1

어린 시절부터 경쟁적이고 바쁜 삶에 익숙한 우리는 그 속도에 함께 발맞추지 못하는 이들을 보며 “부적응”, “낙오”와 같은 단어들을 곧잘 떠올립니다. 이런 사회의 분위기를 제일 잘 반영하는 의학용어를 고르라면 ADHD나 ADD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 혹은 ADD라는 용어는 의학적 정의를 넘어서서 세 살 아이에서 심지어 오십 대 […]

Read More…

감정이 가진 강력한 충동성과 힘

감정은 강력한 충동성과 힘을 가집니다. 긍정적인 감정도 그러하지만 부정적이거나 파괴적인 감정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정서는 관계성이나 심지어 생명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큰 영향력을 갖습니다.   강력한 부정적 정서로서의 공포와 우울로 인해 누군가는 심지어 자살과 같은 치명적인 행위를 하기에 이릅니다. 우리는 그에 대해 단순한 논리로 옳고 그름을 평가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습니다. 생명은 무엇보다도 소중하지만, 그 소중한 […]

Read More…

애착과 심리치료 2

만약 아이가 일차적이고 비언어적인 감정소통에서 기본적 신뢰와 안정을 누리지 못하는 상태로 강력한 감정 경험들을 하게 되면 이러한 경험들은 의식에서 소외되어 억압되거나 해리된 채로 아이들의 정신에 지속적으로 무의식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됩니다. 즉, 아이들의 성장과 인격발달에 우울, 불안, 강박, 자기애적 narcissistic 공허와 결핍 등의 양상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나를 낳고 길러 준, 가장 가까운 사람과의 […]

Read More…

애착과 심리치료

“나는 애당초 부모로부터 따뜻함도 사랑도 받지 못하고 컸는데, 어떻게 안정감을 가질 수 있고 변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심리치료를 시작한 지 몇 년이 지난 어느 날 영민 씨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10대부터 깊은 우울과 분노, 공포와 불안장애를 겪으면서 현재 30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늘 불안하고 사람을 두려워하며 감정을 느끼지 못하고 강박적으로 지내던 영민 씨가 ‘따뜻함’, ‘안정감’ 같은 […]

Read More…

이민가정이겪는심리적위기와기회, 그리고‘Emotional Home’ 2

제 경우를 생각해보아도 30대의 미국 유학생활은 분명한 목표를 가진 것이었으나 이해할 수 없을 만큼의 고통스런 외로움과 우울에 시달렸습니다. 정서적으로 따뜻하지 못했던 가족 관계 속에서 항상 가졌던 어딘가 모를 슬픔은, 새로운 환경과 지적인 도전 앞에서 더 고개를 들었습니다. 또한 제 치료실에서 듣게 되는 많은 내담자들의 이야기들도 그런 사연들을 담고 있습니다. 그 개인과 부모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애착이 […]

Read More…

이민가정이겪는심리적위기와기회, 그리고‘Emotional Home’ 1

미국 땅에서 이민자로 살고,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고 공부하고 나누면서, 새삼 이민자로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됩니다. 이민을 심리적 측면에서 정의해 본다면, 일차적이고 모성적인 환경, 가장 익숙한 것으로부터의 떠남에 이은 새로운 환경에서의 생존과 적응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가장 익숙한 환경을 떠난다는 것은 우리로 하여금 많은 질문을 하게 합니다. 익숙한 것을 떠나는—떠나야만 하거나, 혹은 떠날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