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way 교육 – 우리 아이가 기독교인이 아니라도 부활절에 대해 알기 원해

부활절을 맞으며, 우리 자녀들이 크리스천이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이 날에 대해 알고 있으면 좋겠다는 소망이 든다. 이유인즉슨, 필자의 지인인 어느 학부모께서 “제가 기독교인도 아니고 한국에서 늦게 미국에 이민을 오다 보니, 미국을 비롯한 서양 문화의 기본을 이루는 기독교에 대해서 잘 몰라 좀 걱정이 되네요. 우리 아이들에게 가르쳐 줄 수가 없어서요. 요즘은 학교에서도 종교에 관한 내용들은 다루기 꺼려 하니 말입니다.”라며 한탄을 하신다. “그럼요. 서양의 철학, 예술 등에 표현된 내용들 중에 기독교적 배경을 모르면 이해하기 힘든 것이 많지요.” 필자가 맞장구를 친다.

     부활절을 맞아 필자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주초부터 시작해 독자들께서 이 신문을 펴시는 주말에 이르는 한 주간은 기독교의 큰 명절 주간이다. 성경의 구약에 따르면, 지난 토요일 저녁부터 오는 토요일 저녁(부활절 전날)까지가 유월절 절기이며, 이것은 거의 기독교의 고난 주간과 궤를 같이 한다. 고난 주간에 일어난 중요한 사건을 따져 보면, 기독교의 정수들이 표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바로 지난 일요일이 예수께서 예루살렘성에 나귀를 타고 입성하시자, 그 성의 주민들은 “호산나! 호산나! (Save us now, 지금 우리를 구원하소서)”를 외치며 예수를 환영한 종려 주일이었다 (Palm Sunday). 기독교적 신앙 고백이라기 보다는 로마의 지배하에서 유대 민족을 구해달라는 주민들의 외침이었으리라. 다음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으로 유명한, ‘최후의 만찬’일이다. 예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시고 마지막 만찬을 함께하신 목요일 밤 (Maundy Thursday)이다. 금요일은 우리 죄인들의 죄를 대신하여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 가신 날이고 (Good Friday), 3일 뒤인 일요일은 그 분이 죽음에서 부활하신 날인 부활절(Easter)로 기념한다. 이 한 주간을 크리스천들은 고난 주간(Passion week)으로 기념해 지킨다.

     이 주간에 성경 속에서 일어난 사건 한가지를 소개한다. 어느 해 부활절 필자가 출석하는 교회 목사님의 설교 말씀 중에 “대야 신학”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영어로 설명을 듣기 전에는 ‘신학’이라는 학문이 주는 무겁고 어려운 분위기 때문인지, “대야망”을 가진 사람들의 ‘신학’ 정도로 생각하다가, 영어로 “Basin Theology”라는 번역을 듣고는 실소를 머금었다. “(세수) 대야 신학”이 아닌가? 필자의 얼굴에 스친 그 실소는 말씀이 깊어 지며 심(각한  미)소로 바뀌었다. 내용인즉슨, 성경에 등장하는 두가지 대야에 관한 비교였다. 하나는 예수님 당시 유대 나라에 파견된 로마의 총독이었던 빌라도가 사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예수님이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한 것이란다.

     시간상 먼저 사용된 예수님의 대야를 보자. 신약 성경의 요한 복음 13장을 보면, 예수님이 최후의 만찬을 갖는 장면이 기술되어 있다. “저녁을 드시던 자리에서 일어나 겉 옷을 벗고 수건을 가져다가 허리에 두르셨다. 그리고 대야에 물을 담아다가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고, 그 두른 수건으로 닦아 주셨다.” 그 당시의 관습에 의하면, 주인이나 방문한 손님들의 발을 씻어 주는 것은 종들의 몫이었다. 발을 씻기신 이유는 같은 장에  1) “자기의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셨”기 때문이고, 2) “내가 너를 씻기지 아니하면 너는 나와 상관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셨다. 이 관습을 깨는 파격에 마음이 움직였다. 더욱 마음이 아팟던 장면은 예수님이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시기 전에 이미 제자들이 당신을 곧 배반할 것이라는 점을 알고 계셨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행했다는 점이다. 수제자인 베드로는 다음 날 아침 닭이 울기 전에 3번이나 자기가 예수와 관계가 없는 사람이라고 부인을 할 터이고, 요한을 제외한 다른 제자들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힐 때 모두 도망을 갈 것이며, 가롯 유다는 식사 후에 예수를 은 30전에 팔아 넘길 것임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어디선가 들려 오는 “너는 그러지 않을 자신이 있느냐?”라는 물음이 필자의 귓가에 쟁쟁했다.

     빌라도의 대야. 같은 신약 성경의 구절인 마태 복음은 빌라도의 대야를 상세히 묘사해 전해 준다. 유대인의 신학자들과 그 하수인들이 가롯 유다의 밀고로 예수를 붙잡아와 재판을 요구하고 사형에 처하라고 외치며, 아니면 민란이라도 일으킬 기세를 보인다. 빌라도는 예수가 죄가 없고 ‘옳은 사람’임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자기로서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는 것과 또 민란이 일어나려는 것을 보고, (대야에) 물을 가져다가 무리 앞에서 손을 씻고 말하였다. 나는 이 사람의 피에 대하여 책임이 없으니 너희가 알아서 하거라.” 자신에게 닥칠 해가 예견되면 옳은 일임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안위를 위해 손을 씻고 자신은 그 행위에 대해 아무런 상관/책임이 없음을 밝히는 도구로 쓰인 빌라도의 대야. 이 사건에서 영어의 숙어인, “wash my hands of something (손을 씻음으로서 그 일어난 일이 나에게는 책임이나 의무가 없다는 어구)”가 유래했다고 한다. 한국어의 관용 어구인 나는 ‘그 일에서 손을 씻었어’와 좀 다르긴 하지만 일견 통하는 말처럼 보이기도 한다는 점에서 흥미가 있다.

위에 언급한 그림 ‘최후의 만찬’을 감상할 때, 이런 배경 지식을 알고 있으면 훨씬 정확히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지 않겠나라는 희망이 앞서 언급한 학부모님의 생각이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제부터는 우리 어른들이나 우리의 자녀들이 자신에게 어느 정도의 해가 예견되더라도, 혹시라도 자신이 섬기는 이들의 배반이 염려되더라도, 옳은 일을 위해 또는 사랑하는 마음으로 우리의 이웃을 섬기며 발을 씻어 주는 삶의 태도를 견지했으면 하는 마음이다. 예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희의 발을 씻겨 주었으니, 너희도 서로 남의 발을 씻겨 주어야 한다”고 하시지 않았는가? 서로가 서로에게 이런 마음을 갖고 실천하는 사회가 바로 우리 모두가 열망하는 세상 속의 천국이 아니겠는가? 아시안 아메리칸에 대한 혐오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작금의 현실을 생각하며 더욱 마음에 와 닿는 장면들이 아닌가?


글의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