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신경치료

근관치료라는 전문용어는 귀에 낯설지만 신경치료 또는 Root Canal로 더욱 잘 알려진 이 치료는 대중들이 치과에 가기 싫어하데있어 손꼽는 대표적인 치료중에 하나이다. 치과의사로써 충분히 이해가 간다.

신경치료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다보면 듣기에 섬뜩할만하기 충분하기 때문이다. 신경치료는 깊은 충치나 외부보호막의 균열 또는 사고로 인한 충격등의 자극으로 감염된 치아내부의 신경과 혈관을 절단시키는 치료로써 치아를 살리기 위한 최후의 보루로 쓰이는 치과치료이다.

치아 완쾌율이 90%를 훌쩍 웃도는 인증된 치료이고 발치를 면하고 치아보존을 가능케하는 고마운 치료임에도 분명하다. 그러나 이로운 치료인만큼 이면에는 치료후 환자의 주의가 필요한 치료이기도 하다.

신경을 절단하는 치료이기 때문에 한 번 신경치료가 되어있는 치아는 더 이상 스스로 치통을 느낄수있는 능력을 상실한다. 찬 음식에 치아가 시려 오랫동안 고생하였다면 신경치료후 시린증상이 즉각 사라지긴 하지만 치아의 생사가 달린 심각한 상황이 아니라면 신경치료란 극단적인 치료법은 피하는것이 좋다. 무분별한 신경치료는 무좀이 걸리는것이 두려워 예방차원이라는 명분으로 지레 발가락을 절단하는것과 별반 다를바없다.

신경치료는 치아의 생태환경을 바꿔 놓는 치료이다. 얻는 만큼 잃는것도 많은 치료인 만큼 치아보존을 위한 마지막 선택이라는 정당성이 있어야 한다.

여느 자연치아가 그렇듯이 신경치료후에도 치아에 재감염의 위험은 항상 도사린다. 오히려 재감염 발병률은 자연치아보다 높아지게 마련이다. 0.5mm의 오차가 용납되지 않는 신경치료에 치과의사가 심열을 다하는 이유도 재감염 위험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라고 볼수있다.

염증은 재감염이 된 치아의 뿌리 끝부분으로 집합되고 치아외부에 존재하는 신경조직을 자극할 정도로 진전이 된 후에야 환자는 비로서 통증을 느끼게 된다.

‘고름’이 부풀어 올라 잇몸이 붓고 치아가 흔들거리기 전까지 통증보다는 ‘불편한 느낌’ 정도가 전부이고 생활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어 대부분의 환자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치과에 갈 필요성을 무시하게 된다. 그러나 통증의 여부를 떠나 치주골속 염증은 뼈를 녹이고 주변치아로까지 염증이 번질수 있어 조기진단을 통해 재신경치료가 중요함은 당연하다. 또한 신경치료후 약해진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장착되는 보철은 충치가 치아와 맞닫는 주변으로부터 시작되어 보철내부에 번져 급기야 치아가 부러지는 지경에 이를때에도 통증을 느끼기 힘들다. 이 모든 이유는 치아내에 통증을 감지할 신경이 이미 절단되어있기 때문이다.

질환이 있어도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 않는 치아는 시시때때로 정기검진으로 상태를 체크하여 조기에 문제를 바로 잡는 방법외엔 달리 현명한 대안이 없다. 신경치료는 누구나 피할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은 쓴 잔임이 분명하다. 피할수없다하더라도 한 번에 원샷하고 간단히 털어낼 쓴 잔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