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기쁨은 작을수록 더 진심으로 축하할 수 있어?

추수 감사절에 집으로 돌아 온 아들 녀석과 함께 넷플릭스에서 한국 드라마를 봤다. 아이에게, “이제 우리가 넷플릭스 시청료를 낼께, 이제는 직장을 그만 두고, 대학원 박사 과정을 시작했으니, 너도 생활이 예전처럼 풍족하지는 않지 않니?”라며 조심스럽게 이야기를 꺼냈다. 여태까지는 넷플릭스의 가족 팩키지 월 시청료를 이 녀석이 지불해왔는데, 그 비용이라도 우리가 내, 아이의 부담을 덜어 주려는 마음에서 였다. 이런 좀 대답하기 겸연쩍은 이야기를 할 때는 의례히 친근함을 담은 서툰 한국말로 “아이구, 아버지, 요즘에 과학 전공 대학원생들은 학교에서 꽤 많은 월급을 받아요. 그 정도는 괜찮습니다” 라며 어깨를 툭친다.

지난 주 유에스에이 투데이의 보도에 의하면, 워싱턴 주 부모의 71퍼센트가 22-40세 성인 자녀들에게 재정 지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네 보통 사람들, 특히 아시아계 부모들이 아직 자리를 확실하게 잡지 못한 자녀들에게 이런 저런 도움을 주는 것이 그리 책잡을 일은 아니라고 필자는 생각해 왔다. 하지만, 조사 결과 밝혀진 보조금의 액수는 조금 놀라운 것이었다. 워싱턴, 캘리포니아와 버지니아 주의 주민들이 특히 자녀들에게 재정 지원을 많이 하는데, 우리 워싱턴 부모들이 월 평균 $870이나 지원해 수위를 차지했다는 결과를 보며 ‘참 부모되기가 쉽지 않고 자식 사랑은 누구나 같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이가 든 자식을 돕는 것은 금전적인 것도 있겠지만, 자녀의 인생 항로에 이런 저런 길잡이가 되는 조언들을 적시 적소에 아름다운 방식으로 하는 것도 좋은 일일 것이다. 각자의 방식이 있을 터이지마, 필자가 경험한 자식 사랑의 경우가 떠올라 소개한다.

이번주부터 다음 주 초까지는 필자와 같은 직업을 가진 칼리지 카운슬러들에게 상당히 신경이 곤두서는 시기이다. 11월 중순에 원서 접수를 조금 늦게 마감한 대학들도 상당 수 있기는 하지만, 약 6주 전인 11월 1일에 대부분의 미국 명문 대학들이 조기 전형 원서를 마감하고 이번주까지 신입생 입학 사정을 마친 뒤, 그 결과를 12월 중순에 발표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립 대학들은 15일을 전후해 합격자 통보를 할 것이다.

이 기간에는 필자의 신경이 온통 전화기로 향한다. 좀 과장하면, 가끔은 셀 폰을 쥔 손에 땀이 배기도 할 정도이다. 드디어, 전화벨이 울린다. 보통의 상담 예약이나 학원의 수업 등에 관한 전화 문의의 경우와 다름없는 평범한 벨소리이지만, 이 즈음의 벨 소리는 조금 더 날카롭고 신경이 쓰이게 만든다. “안녕하세요? 민 선생님.” 첫 마디가 결과를 요약해 준다. 표시 나게 달 뜬, 기쁨을 억제하기 힘든, 그 듣기에 기분 좋은 부모님 음성의 톤은 합격/불합격의 여부를 이미 다 말해 버리신 격이다. 불합격의 경우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실망감을 애써 감추려 하시지만, 그 음색에 결과가 드러나는 것이 분명히 느껴 진다.

불/합격을 받아 들이고 표현하는 태도는 가지각색이지만, 필자의 경험 속에 오래 기억되는 몇가지를 소환해 본다. 합격 발표 얼마 후, 한 녀석이 필자를 찾았다.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 표정과 말투이다. “아직도 합격이 믿어지지가 않아요. 친구들 중에는 많은 아이들이 불합격했어요 (당연히 아무리 합격율이 정시보다 두, 세 배인 조기 전형도 보통 20%를 크게 상회하지는 않으니). 어떤 아이는 자기가 불합격했는데, 제가 합격했다고 너무 진심으로 축하를 해 주어서, 너무 마음이 찡했어요 (우리 아이들, 이런 때는 되도록 한국말을 섞어 표현을 한다)” 친구의 걱정에 자신의 기쁨도 잊는 녀석의 표정에서 필자의 입가에 흐뭇한 웃음이 배어남을 느낀다.

게다가 같이 오신 부모님이 덛붙이시는 한마디는 가히 화룡점정이다, “그래, 네 친구들 중의 많은 아이들은 아직 합격 소식을 듣지 못했거나 불합격한 아이들도 많지 않니? 우린 네가 합격한 것이 너무나 자랑스럽고 기쁘지만, 우리가 좀 자제하며 다른 이들의 마음도 고려해야 하겠구나.” 아이의 어깨를 살며시 잡으시며 기분 좋은 장면을 보여 주신다. 그 장면을 보는 필자가 보기에도 좋음은 물론이지만, 이 녀석의 인생 속에서 남을 배려하는 태도를 수립하는 결정적인 초석이 되는 장면이 아니겠는가? 위에서 이야기한 자녀에게 도움이 되는 몇마디가 바로 이런 것이 될 것이다.

훌륭한 자녀를 만드는 가정 교육은 사소한 대화들에서 조금씩 실천되고 형성되는구나 하는 깨달음을 배우며, 성경의 한 구절이 떠 오른다: “[예수님이] 범사에 여러분에게 모본을 보여준 바와 같이 수고하여 약한 사람들을 돕고, 또 예수께서 친히 말씀하신 바,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 하심을 기억하여야 할지니라 (사도 행전: 20:35).”

조기 전형에 불합격한 가정에 진심의 위로는 기본이다. 반대로, 합격한 학생들과 그 부모님들이 이 시기에 가장 범하기 쉬운 잘못은 자신의 기쁨을 너무 절제없이 주위에 나누는 것이다.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지만 평소에 거의 안부도 묻지 않던 거의 모든 친구 친지들에게 전화를 걸어, “아니 우리 아이가 글쎄 이번에 미국 최고 명문대에 합격했다니까요.”로 시작되는 일방적인 대화는 그칠 줄을 모른다. 그리하여 상대방의 진심의 축하와 부러움이 조금 지겨운 지경에 이를 때까지 계속되는 자랑은 지금까지 쌓아온 인품을 한순간에 무너뜨릴 수도 있다. 이 상대방은 다른 친구와의 대화에서 이 대목을 꺼내 들고는 “아니, 도대체 합격한 것이 기쁘기는 하겠지만 좀 너무한 것 아니야? 그렇게 축하를 받고 싶으면 한 턱이라도 내면서 해야 하는 것 아냐?” 시샘만은 아닌 그럴만한 불평이 맴돈다.

항상 이 때가 되면, ‘국부론’을 쓴 아담 스미스가 우리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그의 저서 ‘도덕 감정론’에서 한 말이 생각난다: “남의 기쁨은 작을수록 더 진심으로 축하할 수 있고, 남의 슬픔은 클수록 더욱 진심으로 나눌 수 있는 법이다.” 18세기 후반의 영국에서나 현재의 미국에 사는 우리 코리언 어메리칸 동포들에게나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 말이라 생각하니 혀끝이 곤두서고 머리 끝이 좀 씁쓸해 짐을 느낀다.

한 해를 정리하는 연말에 지금까지 삶 속에서 받은 것들을 기억하고 가족과 이웃에게 자신이 가진 것을 조금이라도 나누어 주는 마음을 이 연말에 우리도 실천해 보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 벨뷰 EWAY학원 원장 민명기 Tel.425-467-6895 ewaybellevue.com

글의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