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시대의 재정관리

평균수명이 짧았던 과거에는 61세 생일을 맞았다면 크게 기념할 만한 일이었습니다.
당연히 친지들을 불러 모아놓고 큰 환갑잔치를 벌였더랬습니다. 하지만 그건 옛날
얘기입니다. 요즘의 평균수명은 많은 나라에서 80세를 훌쩍 넘습니다.
60년 살았다고 으시대기는 힘든 세상이 된 것이지요.

미국 사회보장청의 발표에 의하면 65세가 된 미국인이라면 여자는 86.6세,
남자는 84.3세까지 사는게 보통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이들 중 네명의 하나는 90세
또 열명 중 하나는 95세까지 산다고 하니 ‘구구팔팔이삼사’ 란 말이 우숫개 소리만은
아닌 듯 합니다.

오래 산다니 좋긴 한데 곰곰 생각해 보면 무턱대고 좋아할 만한 일은 아닙니다.
우선 늘어난 수명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경제적 여력이 충분한지 걱정이 됩니다.
예전같았으면 자식들에게라도 기댈 수 있었겠지만 ‘자식 보험’이 부도가 난 지는
이미 오래 되었다는 것, 다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제일 먼저 할 일은 수입의 일정 부분을 떼어서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일입니다. 은퇴할 때까지 시간이 많이 남은 2-30대라면
수입의 10-15% 정도로 충분하겠지만 4-50대라면 적어도 25%에서 35% 정도는
떼어 놓아야 합니다. ‘복리의 법칙’이 우리를 위해 일을 시작하려면 충분한 시간이
필요한데 늦게 시작한다면 저축액수를 늘일 수 밖에는 없습니다. 그래서 하루라도
일찍 ‘지금 당장’ 시작하는게 중요합니다.

또 하나의 방법은 은퇴 시기를 늦추는 것입니다. 노후자금 비축을 위한 시간을 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장 건강보험을 통해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게다가 사회보장연금 수령 시기를 늦출 수 있으니까 나중에 연금을 받을 때 더 많은
돈을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연금수령을 1년 늦출 때 마다 연 8%씩 연금액이
늘어나니까 꽤 괜찮은 옵션입니다.

이미 은퇴를 한 분이라면 가지고 있는 돈을 늘어난 평균 수명에 맞춰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노년층일수록 주식투자는 위험하다고 경원시 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래선
절대 안됩니다. 자산의 일정 퍼센테이지는 반드시 주식에 투자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그래야 살아있는 동안 돈이 고갈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습니다. 주식이 위험한 이유는
그만큼 수익률이 높기 때문이니까요.

누구에게나 맞는 만능해결책이란 건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람마다 제각각 생각하는게
다르고 환경도 다른데 특정한 한두가지 수단으로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한 일입니다. 재정문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특정 금융상품이나 부동산에 몰빵하는 일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특히 ‘고수익 저위험’ 또는 ‘원금보장’ 등등의 유혹에 솔깃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이니까요.

이 칼럼에서 자주 말씀 드리는 ‘달걀을 한바구니에 담지 않는다’는 경귀는 어느 연령
대에서나 기억해 둘 만한 얘기입니다. 그러나 노후 시기에는 더더욱 소중한 경귀라고
생각합니다. 젊었을 떄는 만에 하나 실패를 하더라도 재기의 기회를 얻을 수도
있겠지만 노년에는 그럴 가능성이 아주 희박하니까요. 그래서 은행에 돈을 예치할 때도
여러은행을 이용해서FDIC 보장을 확실하게 해 두고 또 주식이나 뮤츄얼펀드에 투자할
때도 투자가 한두군데로 몰리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노후에는 지출 문제에도 한층 신경을 써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수입은
고정되어 있는 시기라서 버는 것 보다 지출 쪽이 더 중요할 수 있으니까요. 지출을 줄일
수 없다면 생활비가 낮은 나라들, 예컨대 중남미나 동남아 쪽 나라로 이주해 그 쪽에서
은퇴생활을 하는 것도 고려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물론 수익률을 높여서 소득을 늘리면 됩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려면 위험부담을 더 져야
하는데 노후에 불필요한 위험을 진다?… 추천하기 힘든 옵션이네요.
그래서 수익률보다는 안전성에 중점을 두면서 가진 돈이 고갈되지 않도록 하는게 노후
재정관리의 알파고 오메가다, 이렇게 접근하시기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