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에 관하여 Part. 1

“얼음처럼 차가운 엄마 Refrigerator Mother” – 1940년대 중반에 미국의 정신과 의사였던 레오 캐너 Leo Kanner박사와 헝가리의 심리치료사였던 브루토 베텔하임 Bruno Bettleheim은 아이의 자폐증은 정서적으로 냉담한 엄마의 양육에 대한 방어적인 반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이후 이삼십 년간 정신의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고 자폐아를 가진 부모들의 마음에 상처와 죄책감을 남기게 됩니다. 그러나 부모를 향한 비난에 대한 반작용이 만만치 않게 커지면서 1980년대 이후로는 자폐증의 신경생리학적 요인이 부각되었습니다. 현재는 유전적인 신경생리학적 원인과 환경적, 심리적 원인이 함께 작용하여 신경 체계의 적응성을 손상시켜 자폐증을 일으킨다고 설명합니다.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이유로 거론되기도 하지만 사실상 자폐증의 원인을 정확히 설명하기 힘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폐증은 최근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ASD)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각한 자폐증 Autism에서부터 아스퍼거 증후군 Asperger’s syndrome과 광범위한 발달장애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에 이르는 스펙트럼을 포괄해서 장애로 명칭 한 것입니다.

자폐 스펙트럼에서 보이는 발달상의 손상 impairment은 세 가지 영역으로 집약됩니다. 즉, 감각운동계 통합의 장애 dysfunction in sensorimotor integration, 사회적 관계 social relationships와 사회적 소통 social communication발달의 손상입니다.

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앓는 아이들이나 성인들은 동시에 여러 감각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운동계의 기능이 섬세하게 발달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가까운 사람에게 다가가고 안고 안기는 기본적 관계 맺음에 위축과 수동성을 가져오고 의사소통을 제한시키는 큰 요인이 됩니다.

자폐를 겪는 아기들은 처음부터 언어발달이 지연되거나 생후 몇 달 만에 옹알이를 하다가 멈추게 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감정 조절의 문제를 보이고 눈 맞춤이 없거나 회피하며, 혼자 있기를 선호하고 누군가가 자신을 접촉하면 뻣뻣해지고 접촉을 싫어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또한 자신을 진정시키거나 self-soothing 혹은 자신을 다치게 하는 self-injurious반복적인 행동 패턴 restricted and repeated patterns of behavior으로도 이어집니다.

이러한 증상들의 내용을 보면 왜 부모들이 자신의 자식이 많은 질환 중에서도 자폐증을 앓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때 그리도 절망하는지를 잘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의 아이가 성장하면서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던 삶, 상상과 기대 속에 살아있었던 아이가 마치 죽어버린 듯한 충격을 받는 것입니다.

8+1 MindBody Clinic
Tel. 425-435-1350

린우드
17414 Hwy 99 #104, Lynnwood, WA 98037

페더럴웨이
32123 1st Ave. S. #A-1, Federal Way, WA 98023


글의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