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주의2

지난 호에서는 입체주의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다. 이번호에서는
입체주의를 시대별 특징으로 나누어서 이야기 해보기로 한다
. 입체주의는 세잔적
입체주의
, 분석적 입체주의 그리고 종합적 입체주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세잔적 입체주의
입체주의 최초의 작품은 1907년에 제작된 피카소의 <아비뇽의 아가씨들>로 보통
평가된다. 이 그림에는 아프리카 조각의 특징과 대상을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로
환원하며 표현한 세잔적 특징이 보이기 시작한다. 한편, 큐비즘 운동의 또 하나의
축이었던 브라크 역시 이러한
세잔과 피카소의 영향을 받아 당시 제작한 풍경화에서
제한적인 색을 사용하고 단순한 기하입방체로 형태가 환원 되어있는 입체주의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
. 이들은 이후에 서로의 작품에서 공통점을 발견하고 큐비즘이라는
새로운 미술운동에 공동연구를 하기 시작한다. 이로 인해서 이른바 “분석적 큐비즘”의
정물화와 초상화를 내놓게 된다.

분석적 입체주의

입체주의의 첫 단계는 사물의 면을 분석하여 해체하고 그것을 화면에 나열하는 것이다.
이 시기에 피카소와 브라크의 그림은 마치 수많은 파편들이 어지럽게 화면에 나열돼
있는듯이 보인다
. 이 시기에 그려진 피카소와 브라크의 일련의 정물화와 초상화 속에서
보여지듯이
, 이제 화면은 짧은 수평선과 수직선들이 주된 조형 요소로 등장하고, 여기에
약간의 사선과 곡선으로 된 변화가 주어지는 평면 회화가 되기에 이른다. 이들은 이러한
분석적 방법으로 인해, 개인적인 해석이나 감성이 개입되지 않은 채 사물의 본질적인
구조에 가까워질 수 있었다. 그들은 화폭의 객관적 구성을 위해 색채는 흑갈색과
암적색으로 한정하였다. 그러나, 이 분석과 해체의 과정에서 대상의 실체성이 사라져
버렸으므로, 1912년경 전후로 다시 현실로 귀환하는 방법이 모색되게 된다.
이것이 이른바 <종합적 큐비즘>이다.

종합적 입체주의

입체주의 화가들의 현실적으로 귀환의 노력은 대상물의 단순화와 기호화, 활자의 등장
그리고 콜라주의 창안 등으로 들 수 있다. 콜라주는 브라크와 피카소가 종이나 오브제
같은 것을 화면에 붙이며 표현하는 것으로 처음으로 창안해 내었다.
브라크의 <바이올린과 파이프>라는 작품을 보면 현악기 닮은 모양으로 분해되어 그것의
기본을 이루는 구조적인 선과 마분지, 신문지등을 이용, 합성하여
작품을 만들고 있다.
입체 주의 화가들의 고민은 재현적인 면화 추상적인 면 사이에 균형을 맞추는 것이었다,
그것은 대상물을 해체하면서 그리지만 그 대상물이 무엇인지는 암시가 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 그래서 입체 주의 자들은 대상물을 겉 모습에 근거하여 다시 점과 다중
분할의 방법을 통해 표현을 하였다
.

J Art Academy

원장

이준규


브라크<바이올린과 파이프>근대 미술관, 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