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허

어릴 적 어른들이 세상에서 제일 큰 새는? 하고 물으면 여러 종류의 새 이름을 말하지만,
답은 먹새 였습니다. 아기들이 고사리 같은 작은 손가락이나 주먹을 입에 넣거나 대고 빠는
행동과 여자들이 음식을 만들고 장만하는 것도
먹새질이라 합니다.
사람한테 먹는 행위는 생존하고 연결되어 중요하므로 먹는 행위를 먹새라 하여 잘 먹는 것을
표현했습니다
.

을 먹는 행위를 마신다하고 급하게 벌컥벌컥 많이 마시면 들이붓는다 들이마시다
들이켜다와 같은 말들로 표현하고, 음식을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마구 먹으면
게걸스럽게 먹는다 거머 먹는다 걸터 먹는다라고 하고, 음식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흔적도
없이 먹어버린 행위를
가무렸다하고, 음식을 긁어모아 먹는 행위를 검는다라 하고,
음식을 씻은 듯이 모두 먹어버리는 것은 훌부셨다라 하고, 타인의 음식을 빼앗아 먹는 것은
갈겨먹는다’라고 합니다.

식사하고 난 후에도 수시로 과자, 빵 같은 군음식을 자주 먹는 것을 주전부리라 하고, 음식을
보고도 잘 먹지 않고 조금 먹으며 음식을 가리면
입이 까다롭다 입이 짧다하고, 맛이 있거나
좋아하는 음식만 먹으려고 까다롭게 하면
입이 되다하고, 먹기 싫은 음식을 억지로 먹는 것은
데시긴다고 합니다.
먹는 행위를 다양하게 표현한 선조들의 관찰력과 그것을 언어로 표현한 한글의 창조성은
대단합니다
.

먹는 즐거움으로 산다고 하는 분들이 있으며 잘 먹고 죽은 귀신 때깔도 좋다고 하며
식탐을 나타냈습니다
. 위장에 이상이 없는데도 먹는 음식이 까다롭고 조금 먹으면 입이 짧다

입이 까다롭다라고 했습니다. 입이 짧거나 까다로운 사람은 본인이 좋아하거나 맛이
있으면 먹지만
, 어떤 음식도 잘 먹지 않고 아주 조금 먹는 사람이 있습니다.

특이한 질환도 없으면서 잘 먹지 않으면 주위에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어른이 그렇다고 하면 그런가 보다 하지만, 성장기에 있는 아이가 음식을 먹지 않으면 부모의
걱정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 이런 경우 식욕부진증이라 하나 비허가 있으면
위에 이상 없이 배가 고파도 대들어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 겨우 한 두 숟가락 먹으면
잘 먹는 경우입니다
.

또 성인들 중에서 한 두 숟가락 먹으면 더 이상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음식을 잘 먹는
사람들을 부러워하기도 합니다
.

()의 기능이 약하면 만사가 귀찮아지고 무관심해지며, 때로는 손가락을 움직이기 싫을 때도
있어 이것을 보고 게으르다라고 합니다
. 게으름과 무력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움직이고
싶어도 체력이 부족하여 움직임이 역겨운 것은 무력증이고
, 체력은 있으나 움직이기 싫어
안 하는 것은 게으름입니다
. 비허(脾虛)의 상태가 되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나타나는데,
우선 무기력과 음식을 먹기 싫은 상태가 되고, 비허가 오래되면 기허(氣虛)가 되어, 음식을
조금 먹어도 내려가지 않아 소화가 안 되고
, 배고픔을 느끼지 못하고, 먹은 것도 없는데
변이 묽거나 설사가 있고
, 헛배가 부르고, 등이 아프며, 다리가 쥐가 잘 나고 저리며,
잠들기 어렵고, 어깨가 시리며 추위에 예민해집니다. 가임기의 여성은 신경이 예민해져
짜증과 화를 잘 내고 기울
(氣鬱)이 되어 생리통이 심해졌다, 덜해졌다 하며 생리불순으로
생리 양이 적어졌다가 많아졌다 하고
, 얼굴에 여드름이 아닌데 오톨도톨한 작은 같은 것이
생기기도 합니다
.

갱년기도 아닌데 볼이 벌겋게 열이 생기는 안면홍조증도 일어납니다.

비허는 열이 있는 사람과 몸이 냉한 사람에게 나타나는데 원인이 다르며 비허로 음식을 못 먹고
안 먹고
, 먹으려고 하지 않는 점은 같습니다. (표면)에 열이 있고 속이 냉한 사람은 중초를
따뜻하게 하는 이중온열 방법으로 찬 기운을 풀어주고 비위의 냉기 풀어지도록 길을
열어주어야 하고
, 속에 열이 있고 겉이 찬 사람은 이열치법으로 겉과 속을 일치하게 해주어야
비위의 기능이 회복되어 음식 맛을 알게 됩니다
. 사람은 음식을 잘 먹어도 걱정, 잘 먹지 않아도
걱정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당신도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합니까?

체질은 태어나면서 있고 변하지 않은데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고 체질을 믿지 않습니다.

체질을 알면 건강이 보이는데 당신은 어떤 체질입니까?

사상(8)체질 한약방 253-536-5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