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과건강 (우울증5)

우울증은 적극적인 노력을 하면 쉽게 극복할 수 있는 정서적 문제이지만 자칫 잘못
대처하면 위험한 늪과 같이 점점 더 깊은 곳으로 빠져 들 수 있는 함정이 있습니다.
우울증은 부정적 생활사건에 의해서 촉발된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부정적 생활사건’
(예를 들면, 사랑하는 가족,친구의 사망, 가정불화, 가족관계나 이성관계의 악화,
친구와의 심각한 갈등과 다툼, 실직이나 사업실패, 경제적 파탄과 어려움, 현저한
업무부진이나 학업부진…)을 계기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생각’이 증가하고 자기실망,
자기질책, 자기비난, 자기비하를 통해 자기가치감이 저하되면서 우울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누구나 경험하는 생활사건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하느냐(상황을 해석) 하는 것이
우리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생활사건은 자체로 직접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생활사건에 대해서
우리가 부여한 의미 의해서 우리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인간은 환경자극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의미 부여하는 능동적 존재입니다.
인간은 생각하는 존재이고 사람마다 생각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우리가 경험하는
생활사건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 우리의 기분상태
(화나고, 슬픈 감정) 결정하고 우리 삶의 모양을 다르게 만듭니다. 여기에 우리 인생의
중요한 비밀이 숨겨져 있습니다. 우울한 기분은 부정적 사고 의해서 유발되며 이러한
사고내용을자각하는 것이 우울증을 극복하는 단계입니다. 부정적 사고를 확인하는
대표적 방법에는 엘리스라는 심리학자가 제시하는 A-B-C 기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A는 선행사건(antecedent)이고, B는 선행사건에 대한 사고내용(belief)을 뜻하며,
C는 결과적 감정(consequent emotion)을 의미합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에게 가장 먼저
포착되는 것은 우울하고 괴로운 기분입니다. 이렇게 우울감(C)이 느껴질 때, 이러한
기분을 느끼게 한 상황, 사건(A)을 살펴 A(선행사건) – C(우울감정)의 연결을 찾아냅니다.
이때 가능하면 사건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배제하고, 객관적 상황을 기억해냅니다.

아울러
사건 자체는 우울감을 유발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를 들겠습니다. 대학생인 김군은 학과 친구들과 모인 술자리에서
별로 할 말이 없었고, 친구들도 자신에게는 별로 말을 걸지 않았습니다. 이런 술자리가
끝나고 나서 우울감에 빠졌습니다. 그 상황에서 지녔던 김군의 생각을 살펴본 결과,
김군은 자신의 그 당시에 ‘나는 대화에서 관심을 끌 만한 이야기를 하지 못할 만큼
아는 게 부족하다’, ‘나는 친구들에게 인기가 없다’, ‘나는 친구들로부터 따돌림 당할지
모른다’ 는 생각이 우울감에 젖게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A-B-C기법에 따라 도식적으로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A(선행사건 : 회식자리에서 활발하게 말하지 못하고 위축되어 있었다) –
B (개입된 생각 : 나는 아는 게 부족하다. 친구들에게 인기가 없다. 이상한 놈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따돌림 당할지 모른다) – C (결과적 감정 : 우울감, 소외감, 행동위축)
위의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우리가 느끼는 감정, (위에서는 우울한 감정) 생활사건에 대한 부정적 사고,
의미부여에 의하여 생성된다는 것입니다.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번째 반문은 나의 생각이 사건에 대한 객관적인
생각인가?라는 물음입니다.

객관적인 생각이란 주관적 편견에 얽매이지 않은 사실적인생각을 뜻합니다.
이를 위해서 ‘이렇게 생각할 충분한 근거가 있는가? ‘사건의 부정적 측면만을 본
일방적인 생각은 아닌가? ‘다른 사람도 나와 같은 상황에 있다면 나와 같은
생각을 할 까? ‘달리 생각할 수는 없는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 던져봅니다.

두번
반문은 이러한 생각들이 과연 논리적인 것인가? 라는 물음입니다.

생활사건에 의해 촉발된 부정적 생각들은 꼬리를 물고 확대되어 갑니다.
우울한 사람들은 부정적 생각들을 확대시켜 나갑니다. 마지막으로 있는 반문은
부정적 사고의 유용성에 대한 것입니다. 많은 경우 생활사건이 의미하는 바에는
정답이 없다는 것입니다.

즉 생활사건에 대해서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를 위해서
부정적 생각에 대해서 ‘이런 생각이 나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가? ‘이런 생각이 나의
목표를 추구하는 데에 어떤 도움이 되는가? ‘이런 생각이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데 어떤 도움이 되는가?라는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져볼 수 있습니다.

부정적
생각을 인식하고 현실적인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삶을 지혜롭게
살아가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우리 한의원 부한 프라자

425 – 778 – 7771 화병, 스트레스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