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방학 과제: 왜, 다시 SAT가 필수인가?”

이 교육 칼럼의 애독자께서 이 글을 읽으시는 주말은 벌써 6월도 두번째를 맞는 주말일 것이다. 곧 10주나 되는 긴 여름 방학이 시작되고, 이 중요한 시기를 어떻게 보내면 좋을 지를 심각하게 고민하셔야 할 기간이다. 이러한 고민에 조언을 드리는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고교 상급반 학생들은 여름 방학 10주가 진학할 학교의 이름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라는데 시비를 제기할 사람은 없다. 올 가을에 고교 10, 11학년과 12학년이 되는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이 기간 중에 할 수 있는 준비 중의 하나가 대입 학력 시험인 ACT/SAT 시험을 대비하는 것이다.

     이제 곧 현재 학년의 마지막인 봄 학기가 거의 끝나가니, 마지막까지 최고의 성적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한다. 학교 성적이 대입 사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대입 준비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여름에 준비해서 바꿀 수 있는 것이 대입 에세이와 요즘 그 중요성이 점점 이전의 영광을 되찾아 가는 SAT/ACT 시험 점수임을 모든 전문가들이 동의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삼주 전에는 ‘언제 이 시험을 준비하는 것이 좋은 지’를 소개했다. 요약하면, 보통 10학년에서 11학년에 올라 가는 여름 방학이 최적기이고, 학생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9, 10학년이나 12학년이 되는 여름이라고 설명드렸다. 이주 전에는 올 해부터 새롭게 바뀐 SAT를 소개해 드렸는데, 이제는 디지털 시험이며 수험생의 능력에 따라 다른 문제를 풀게 되는 어댑티브 테스트(adaptive test)이고, 시험 시간이 예전의 3시간에서3분의 2정도로 짧아졌다는 점이 큰 틀이다. 지난주에는 왜 미국의 명문 대학들이 이 시험을 입학에서 다시 필수 요건으로 요구하는지를 알아 봤는데, 요약하면 팬데믹으로 인해 마지 못해 선택 사항으로 돌린 대학들이 이제 제자리를 찾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제 제 자리를 찾아 간다’고 말하면, 이 시험의 결과에 대한 두가지 다른 견해들의 한 편을 드는 것이 되지만, 올 들어 많은 명문 대학들이 이러한 변화에 동승한다는 의미에서 다시 예전의 자리로 돌아간다는 의미였으니, 너무 오해는 마시라. 미국의 입시에서 가장 첨예하게 대두되는 쟁점의 뿌리를 살펴 보면, 레거시 제도나 인종 문제처럼 많은 경우 소수계에 대한 배려의 방법과 정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교육에 있어서의 정의의 문제에 대한 이해 차이이다. 특히 작년에 연방 대법원이 대학 입시에서 인종을 고려하는 것이 합법적이 아닌 것으로 판결하면서, 소수계의 명문대 입학이 실질적으로 제한을 받게 된 것은 사실이다. 대학 입시가 계층의 사다리 역할을 해, 소수계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자신들의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자유주의적 주장에 브레이크를 거는 상황이 된 이후로, 소수계를 고려하는, 특히 인종이 아닌 다른 지표를 모색하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표준 시험으로 국한시켜 본, 이 다른 두가지 입장은 1) 이 표준 시험 점수는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불공정한 지표이므로, 이것을 입학 사정에서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주장이다. 더구나 인종이 더 이상 고려 대상이 아닌 상황에서 이 시험 점수는 소수계의 명문대 입학을 더 어렵게 하는 요소이다. 또한, 이 시험 점수는 지원자의 고교 성적에 비해 이 학생이 대학에 들어와 어려움 없이 공부할 가능성과 큰 연관을 보여 주지 않는다. 다시 말해, 부모가 경제적으로 능력이 있는 경우의 학생은 이 시험들을 대비해 학원 등을 이용하는데 드는 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으므로,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 더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으니 불공정한 시험이라는 의견이다. 많은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백인이나 아시아계 학생들에 비해 흑인이나 히스패닉계 학생들의 점수가 월등히 낮은 차이가 나는 것은 사실이다. 게다가, 한 학생이 대학에 입학해 수업을 성공적으로 듣고 뛰어난 업적을 쌓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것은 고교 성적이며 표준 시험 성적은 별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없다고 전통적으로 여겨져 왔다.

     2) 두번째의 입장은 이와 큰 차이가 난다. 지난해 말부터 계속되고 있는 명문 대학들의 시험 점수에 대한 입장 변화(선택에서 필수로)는 많은 부분 이 주장에 근거한다. 이 시험의 점수가 경제적으로 부유한 계층의 자녀들의 경우 높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점수 차이는 경제적 차이의 ‘증상’이지 ‘이유’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점수를 선택 사항으로 하면, 경제적으로 위약한 처지의 학생들은 시험 보기를 피하며, 자신의 능력을 보일 도구를 잃게 된다.  즉, 이 시험의 점수는 입학 사정에서 여러 요소들 중의 하나이고, 만일 이 학생의 아주 높은 점수를 못 얻었더라도 비교적 잠재력을 보여 주는 그 점수를 그 학생의 경제적 난관 극복의 배경과 함께 고려할 때 그것은 오히려 이점으로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아이비 8개 대학과 스탠포드, 듀크 시카고, 그리고 MIT 입시를 분석한 최근의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이  시험 점수들이 해당 학생의 고교 성적보다 훨씬 대학에서와 직장에서의 능력 발휘와 큰 연관을 보여 준다고 주장한다.

     필자의 의견으로는 앞으로 이러한 후자의 주장이 더욱 힘을 얻을 것으로 생각되니 조만간 대학에 지원할 학생들은 SAT/ACT 시험 대비에 유의할 필요가 있고 이번 여름을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 벨뷰 EWAY학원 원장 민명기 Tel.425-467-6895 ewaybellevue.com

글의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