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 작가들의 도전과 열정이 빛나다, 제21회 뿌리문학신인상 시상식 성황리 개최

제21회 뿌리문학신인상 시상식이 지난 20일 벨뷰 시청 공개홀에서 열리며 미주 한인 문단의 성장과 새로운 인재들의 등장을 알렸다. 이번 행사는 서북미문인협회(회장 김미선, 이사장 심갑섭)가 주최하고 재외동포청이 후원했으며, 협회 회원들과 수상자 가족, 그리고 지역 문학 애호가들이 함께 모여 문학 축제를 함께했다.
행사는 번역상 수상자인 워싱턴대학교 4학년 박준서 군의 사회로 진행되었고, 김미선 회장의 환영사, 구광일 영사의 축사, 심갑섭 이사장의 격려사 순으로 이어졌다. 또 선배 문인들의 축하 메시지와 테너 박상영 씨의 무대 공연이 더해져 한층 풍성한 문학의 장이 되었다.


올해 시상식에서는 시 부문에 이명숙 씨의 ‘풀빛 디아스포라’가, 수필 부문에는 김민정 씨의 ‘녹슨 행복의 열쇠(우수상)’, 윤혜성 씨의 ‘첫 그림 전시회’, 정현민 양의 ‘진짜 인연’이 각각 선정되었으며, 단편소설 부문에서는 박순실 씨의 ‘잊어야 하는 그리움’, 디카시 부문에서는 박희옥 씨의 ‘경계를 넘어’가 당선작으로 이름을 올렸다. 또한 청소년 부문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정세라 양의 ‘왕의 옷을 입은 개구리’, 번역 부문에서는 박준서 군의 작품 ‘Chair’가 수상작으로 발표되어 주목을 받았다.
특히 미래작가상은 차세대 문인들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주목을 끌었으며, 안수빈 양(10학년)의 ‘씨앗’, 이채린 양(9학년)의 ‘나에게 한국어는 왜 중요한가’, 유 제이든 군(10학년)의 영어 시조 ‘Life’s Stop’이 선정되었고, 공한나 씨는 한글상을 수상했다.
김미선 회장은 환영사에서 “작가는 문제를 마주하며 언어를 통해 비전과 희망을 제시하는 사람”이라고 강조하며 신인 작가들의 도전을 격려했다. 심사위원단은 수상작들에 대해 높은 완성도와 언어적 감수성을 평가하며, 이민 사회 속에서 피어난 진솔한 고백과 희망의 메시지가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행사 말미에는 참석자들이 함께 교류하며 문학적 성취를 나누고 한글문학의 사회적 의미와 가능성을 다시 확인했다. 이번 시상식은 미주 지역 한글문학의 뿌리를 더욱 공고히 하고, 차세대가 함께하는 미래 문학의 희망을 보여준 뜻깊은 자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