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관절에서 가까운 임플랜트일수록 더욱 조심히……

우리들의 치아들 중에서 제일 많이 탈이 나는 치아를 꼽으라고 한다면 아마 2 대구치(제일 끝쪽의 어금니) 아닐까 싶다. 2 대구치는 우리들의 치아들 중에서 제일 뒷쪽에 있고 제일 악관절과 가까이 있다. 이런 특이한 위치 때문에 청소하기도 제일 힘든 치아이기도 하고 또한 교압력도 제일 많이 받는 치아이기도 하다. 이런 이야기를 하느냐 하면 오늘은 악관절에 가까운 치아 일수록 또는 치아의 뒷쪽에 있는 치아 (Terminal Molar) 수록 교압력이 제일 많이 받는 것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제일 쉽게 예를 들자.

위의 사진에서 보듯이 작두가 있다. 작두의 원리는 힌지 (Hinge) 경첩에 두개의 날을 달아서 자르는 역할을 한다. 작두를 이용해서 잘라 분들은 알것이다. 경첩에 가까이 물체를 둘수록 힘을 가해도 자를 있다. 말은 똑같은 힘을 가한다면 경첩에 가까을 수록 힘을 많이 받는 다는 이야기다. 우리의 치아도 비슷한 원리가 존재한다. 악관절은 상악과 하악을 연결하는 경첩 역할을 하면서 치아를 통해 음식을 씹거나 자르게 있다. 이렇게 경첩에 가까운 치아는 2 대구치이거나 터미널 치아 치열에서 제일 마지막에 위치하는 치아이다. 똑같은 교합 근육으로 저작운동을 해도 경첩에 가까운 마지막 치아에 힘이 많이 가해진다. 물론 사람마다 해부학적인 변이가 있어서 이런 이론을 희석시키는 요인이 각자마다 존재할 있다. 예를 들어 선천적으로 교압 근육의 힘이 세거나 씹는 저작 습관이 가벼운 저작을 한다거나 이런 후천적 변이들이 있을 있다. 그럼 위의 케이스를 돌아가서 이야기를 계속 이어가자. 위의 초진 사진을 보면 상기의 환자 분은 상악 오른쪽 치아가 흔들거려서 발치를 해서 치아가 상태이다. 위에서 했듯이 환자분도 마지막 치아에 힘이 많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아가 교압력을 견디어 내지 못하고 망가진 경우이다. 그래서 임플랜트를 이용해서 치아를 수복하기 원하셨는데 먼저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분과 치아가 망가지게 원인과 원인에 대처해서 어떻게 크라운이 제작 되어야 하는지를 상담했다. 그래서 새로 만들어질 임플랜트 크라운은 치아의 사이즈가 약간 작고, 그리고 교압도 약간 떨어트려서 제작해야 한다고 미리 말씀드린 케이스이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환자분은 임플랜트 했는데 음식이 빡빡 씹히지 않는다고 불만을 제기할 것이다. 이렇게 환자의 기대와 담당의의 해줄 있는 치료의 높이를 맞추는 것이 성공적인 임플랜트 치료의 시작이다. 환자분도 이런 점을 이해하셨고 그리고 나중에 뒷쪽으로 임플랜트를 해넣어야지 환자가 만족할수 있는 교합력과 저작력을 달성할 있다고 말씀드렸다. 이렇게 알고 시작한 치료는 환자도 해피하고 술자도 만족한다. 그래서 사진에서 보듯이 하나의 임플랜트를 심고 위에 크라운을 씌어서 케이스가 마무리 케이스이다. 단순이 빠진 치아만 복원하는 의사가 아닌 처음부터 치아가 빠졌는지를 알고 시작하는 담당의를 만나는 것도 행운이라고 하겠다.